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인터스텔라> 리뷰

by 다쫑 2024. 5. 16.

인문학적 관점의 영화 소개

크리스토퍼 놀란의 2014 공상 과학 대작, <인터스텔라> 우주의 깊은 곳과 인간 정신의 복잡성을 탐구한다. 매튜 매커너히, 해서웨이, 제시카 차스테인이 출연하는 영화는 관객을 우주를 통한 여정뿐만 아니라 인류의 위치를 정의하는 감정적이고 철학적인 질문을 통해 이끈다.

 

줄거리: 인간의 생존과 도전

<인터스텔라> 기후 변화와 농업의 붕괴로 인해 지구가 이상 인간 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미래를 제시한다. 이러한 배경은 실증적 위험과 인간의 생존 본능을 깊이 탐구하는 무대를 마련한다. 영화는 멸종의 두려움과 새로운 터전을 찾아야 하는 절박함을 담은 디스토피아적인 지구로 시작된다.

우주를 통한 여정과 웜홀을 통한 여행, 그리고 우주의 광활함에 맞서면서 영화는 시간, 고립, 인간의 적응력과 같은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우주비행사들이 겪는 시간 왜곡은 진보와 생존을 위한 희생의 심오한 비유로 사용된다. 놀란은 이러한 요소들을 사용하여 시간과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에 대해 고찰하게 하고, 현재의 소중함 환경의 중요성도 함께 시사한다.

 

철학적 대화와 등장인물

<인터스텔라> 사랑, 운명, 인간의 목적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풍부한 철학적 대화로 가득하다. 쿠퍼(매커너히) 브랜드(해서웨이) 사이의 대화는 종종 과학적 의무와 개인적 애착 사이의 긴장에 초점을 맞춘다. 브랜드가 사랑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차원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모든 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없는, 인간만이 가지는 가치와 인간 실재에 대한 탐구를 강조한다.

 

또한 우주인들과 함께 탐사하는 로봇 타스와 케이스는 매우 인간친화적으로 만들어진 로봇으로, 그들과 함께 감정을 교류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인간과 소통하기 위해 유머도 조절이 가능하며 목소리 톤까지 커스텀이 가능한데, 이들과 함께 여정을 지속할수록 로봇을 구하려 뛰어는 장면, 인간을 구하려 뛰어드는 로봇의 모습을 연출하며 끈끈함, 우정, 전우애 등을 함께 담아냈다.

데이먼이 연기한 만박사는 인간의 선한 본성에 대한 상충되는 역할로, 그렇다고 타고나길 빌런이라기보다는 오로지 살기 위해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주의가된, 생존을 대표한다. 이러한 대조는 쿠퍼의 인도주의적 가치와 충돌하며, 인류의 우주 탐사가 고귀한 목표에 의해 주도되는지 기본적인 생존 본능에 의해 주도되는지에 대한 철학적 갈등의 근거를 제공한다.

 

영상과 음악: 감성적 여운과 철학적 깊이

놀란의 시각적 상징 사용과 한스 짐머의 감동적인 음악은 영화의 인간 감정과 우주에 대한 탐구를 강화한다. 우주선의 디자인, 가르간투아 블랙홀, 심지어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에서 보이는 원과 루프의 반복 모티프는 생명과 역사의 주기, 그리고 인간 노력의 가능한 무한성을 상징한다.

한스 짐머의 사운드트랙, 특히 "Cornfield Chase" "S.T.A.Y." 트랙에서의 오르간 사용은 영화에 경외감과 영적 중요성을 부여한다. 음악은 영화의 웅장함을 강화하는 동시에 영화의 시각적 장관과 일치하는 강력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ost 현재까지도 유명세에 있으며 많은 커버곡, 오케스트라 연주회가 개최되는 사운드가 영화를 강렬하게 만드는데 획을 그었다.

 

최종 리뷰 : 인문학적 고찰의 여운

<인터스텔라> 단순히 과학 SF영화 이상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웜홀이 발견되어 영화가 마치 실제를 기반으로 다큐처럼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정말 일어날 미래의 하나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영화는 인간의 적응력과 지식 의미를 향한 영원한 추구에 대한 성찰을 제공한다. 복잡한 인간 감정과 우주의 무한한 미스터리를 결합함으로써, 놀란은 우주에서의 역할과 우리 종의 미래에 대해 관객이 고찰하도록 한다. 아울러 시간이 역전되어도 여전한 부녀간의 사랑이 단순히 과학 SF 영화가 아님을 서사하며 인간의 사랑, 고찰, 도전 등을 긍정적으로 그리는 인문학적 영화라 있다.